목록Linux (26)
kjh00n의 기록저장소
● groups [계정명] : 사용자 그룹의 정보 확인 ● groupadd [옵션] [그룹명] : 그룹 생성[-g]GID 설정 ● groupmod [옵션] [계정명] : 그룹의 설정 변경[-g]GID 설정[-n]그룹의 이름 변경 ==> groupmod -n [결과그룹] [원본그룹] ● gpasswd [옵션] [계정명] [그룹명] : 그룹의 패스워드 설정, 관리자 지정 및 추가, 그룹의 멤버 추가 및 삭제[-a]그룹의 멤버 추가[-A]그룹의 관리자 추가[-d]그룹의 멤버 삭제[-M]그룹의 멤버 수정※ 그룹의 관리자를 삭제하려면 vim /etc/gshadow로 직접 들어가서 삭제하는 방법밖에 없다. ● groupdel [그룹 이름] : 그룹 삭제 /etc/group : 그룹의 기본 정보가 저장된 파일/etc..
● useradd [옵션] [계정명] : 계정 만들기[-u]UID 설정[-g]GID 설정[-c]코멘트 설정[-e]계정의 만료일 설정 (년도월일) ex)2024-12-12[-d]홈 디렉토리 설정[-m]-d 디렉토리 [-k]skel 디렉토리를 설정 [root@localhost ~]# useradd test1 [root@localhost ~]# tail -1 /etc/passwd test1:x:1001:1001::/home/test1:/bin/bash------->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 계정명만 입력해서 만들면 UID와 GID는 1001로 설정된다. [root@localhost ~]# useradd -u 1003 -c hello -e 2024-12-12 test2 [root@localhost ~]# tail ..

● /etc/passwd 계정의 정보가 담겨 있는 곳→ root:x:0:0:root:/root:/bin/bash (예시)shell : 명령어 해석기사용자가 명령어 입력 -> shell이 받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해석하여 전달 -> 커널(OS)● /etc/shadow 패스워드가 저장되어있는 파일 + 패스워드 관련 정보● /etc/login.defs ● /etc/default/useraddINACTIVE = -1 ===> 유예기간이 없다 SKEL ===>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제공할 기본 환경설정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skel에서 파일을 만들면 계정이 생성될 때마다 기본적으로 만들어놨던 파일이 생성된다. ※ login.defs와 useradd는 짝이라고 생각하면 돼.
● 계정 :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을 받거나 로컬/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객체(파일 및 디렉토리) ● 계정을 사용하는 이유- 사용자를 식별하여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자원에 접근 가능한지 그 여부를 확인한다. ● 그룹- 특정한 목적을 가진 계정들이나 특정한 기준에 적합한 계정들의 집합- 계정마다 특정 자원이나 서비스, 시스템에 접근 가능한지 여부, 권한을 사용하는데, 그 권한을 쉽고 편리하게 할당,관리하기 위해서 ● 사용자 식별- 권한 할당, 관리 ===> 중요데이터에 아무나 접근을 불가능하게 한다. ===> 노출,변조,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계정 별로 서비스,자원,환경을 제공한다.- ★인증 : 내가 누구인지를 증명하는 과정- 인증을 통해 적합한 사용자인..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마다 관리하는 방식,프로그램이 다른 경우가 있다. ●Rocky Linux (Redhat 계열)패키지(프로그램)를 설치,관리,제어,업데이트,삭제 등 제어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 1.rpm [옵션] [패키지이름]: 레드햇계열 리눅스에서 개발한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rpm으로 끝나는 rpm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방식사용자가 직접 인터넷에서 찾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 방식장점1.설치가 쉽고 간편하다2.업그레이드가 쉽다단점1.원하는 프로그램의 rpm파일을 직접 찾아야한다.2.의존성 문제를 사용자가 직접 해결해야 한다.※의존성이란?A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면 B가 설치되어야 하고 B를 설치하려면 C가 설치되어야한다.이런 문제를 사용자가 직접 해결해야 한다. (version도 맞춰야..

●gzip [옵션] [경로(파일)] : 리눅스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 -파일의 용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gzip으로 압축 시 확장자는 자동으로 .gz로 붙는다.-기존 원본 데이터를 압축해서 압축파일로 만들어 놓는다.※기존 파일은 압축된 파일로 덮어씌워진다.[-l] : 압축파일의 정보를 보여줌[-d] : 압축을 해제한다.[-r] :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전부 하나씩 압축한다[-rd] :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전부 압축 해제한다.gzip test.txt ----> test.txt를 압축파일로 만든다. ●bzip2 [옵션] [경로(파일)] : 리눅스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 -압축률은 bzip2가 좋으나 처리속도는 gzip이 더 좋다.-압축시 확장자는 자동으로 .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