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h00n의 기록저장소

Link 이중화 본문

보안 장비 운용

Link 이중화

kjh00n 2025. 1. 27. 09:52

R1
ip sla 1 (sla 정책 설정) (글로벌 컨피규레이션에서 할 것)
icmp-echo 10.10.10.2 source-ip 10.10.10.1 (출발지 주소를 10.1로 해서 10.2로 icmp echo를 쏴준다)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을 계속 유지함)
timeout 3000 (icmp echo가 3초동안 안오면 장애 발생한 것으로 간주 / 3000=3초동안)
frequency 4 (빈도 수 / 4초에 1번)
exit
ip sla schedule 1 life forever start-time now (sla 정책을 지금 시작하겠다 영원히)
track 1 rtr 1 reachability {link의 장애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track (상태추적)} (rtr 1 = sla 1) (reachability = 연동하겠다) (track 1은 track 1번 정책 설정)
ip route 200.200.200.0 255.255.255.0 10.10.10.2 track 1 (주 경로)
ip route 200.200.200.0 255.255.255.0 20.20.20.2 100 (백업 경로) (100은 Metric값)

R2
ip sla 2
icmp-echo 10.10.10.1 source-ip 10.10.10.2
timeout 3000
frequency 4
exit
ip sla schedule 2 life forever start-time now
track 2 rtr 2 reachability
ip route 100.100.100.0 255.255.255.0 10.10.10.1 track 2
ip route 100.100.100.0 255.255.255.0 20.20.20.1 100

(좌측) 주경로인 10.10.10.1과 10.10.10.2 / (우측) 백업경로인 20.20.20.1과 20.20.20.2

주 경로에서는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0.10.10.1에서 10.10.10.2로 icmp echo를 보낸다

R2번의 fa 0/1을 shutdown함
R1에서는 Down상태가 되었다고 탐지함
라우팅 테이블이 2개가 있는데 위쪽은 R2의 fa 0/1이 shutdown 되기 전 / 아래쪽은 R2의 fa 0/1이 shutdown 됐을 때

shutdown 전/후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200.200.200.0 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10.10.10.2 / 20.20.20.2로 설정이 된다

R2의 fa 0/1이 shutdown된 상태에서 PC1이 PC2로 Ping을 보내면 주경로(좌측)이 아닌 백업경로(우측)으로 Ping이 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보안 장비 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teway / Link 이중화 실습  (0) 2025.01.27
Gateway 이중화  (0) 2025.01.27
PVST 실습  (0) 2025.01.24
이중화 (Redundancy)  (0) 2025.01.24
로드 밸런싱  (0) 2025.01.24